본문 바로가기

면접

1

1. OSI 7 Layer의 개념

 

osi 7계층은 네트워크 상에서 일어나는 통신들을 7단계로 나누어 통신 흐름을 파악하기와 사람들이 이해하기가 쉽고, 7계층 중 특정 계층만 이상이 생기면 그 계층에만 작업이 소요되게 도움을 준다.

 

1계층 부터 물리계층, 데이터 링크 계층, 네트워크 계층, 전송 계층, 세션 계층, 표현 계층, 응용 계층이 있다.

 

 

 

-물리계층은 통신단위가 0,1로 된 비트이며 데이터가 무엇인지 오류가있는지 파악하진 않는다. 

대표적인 장비로는 리피터, 허브가 있다. 

 

 

 

-데이터 링크 계층은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고 정보의 전달을 수행하며 맥주소를 가지고 통신을 한다.

포인트 투 포인트간 신뢰성이 있는 통신을 보장하는 계층으로 오류제어흐름제어를 할 수 있다.

대표적인 장비는 브릿지, 스위치가 있음.

데이터 단위는 프레임

 

 

 

-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팅 기능 즉 데이터를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길을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.

이 계층에선 IP주소를 가지고 통신을 한다.

대표적인 장비는 라우터와, 라우팅 기능을 탑재한 L3 스위치가 있다. 그리고 프로토콜에는 IP, ICMP, ARP 등이 있다.

데이터 단위는 패킷

 

 

Q. 그럼 프로토콜이 뭔가요?

->  컴퓨터 내부에서,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인데요, 원할한 통신을 하기위해선 그 규칙을 맞춰야합니다. 주로 TCP/IP가 사용되고 이러한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기관에는 IEEE, ISO 등이 있습니다.

 

 

-전송 계층은 주로 TCP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종단간 신뢰성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달을 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포트 번호가 필요하고 오류 검출 및 복구, 흐름제어 등을 수행합니다.

데이터 단위는 세그먼트

 

Q. 포트 번호가 뭐에요?

IP를 통해서 내 장비까지 데이터가 들어왔는데, 내 장비 안에 켜져있는 프로세스들은 많잖아요, 그럼 데이터는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기 때문에 미리 번호를 지정해서 너는 333번 포트로 들어가라라고 해서 정확하게 프로세스에 데이터를 넣는겁니다.

 

 

- 세션 계층은 통신 장치간에 상호작용 및 동기화를 시켜주고, 연결 세션에서 데이터 교환때 에러 발생시 복구를 관리해줍니다.

즉 응용 프로그램 간의 연결을 지원해주는 계층이고 프로토콜은 SSH,TLS을 이용합니다.

 

 

 

-표현 계층은 

응용 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를 위해 데이터를 표현하는 계층인데 대표적인 예로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암호화, 복호화를 하는것이 있습니다.  프로토콜은 JPEG, MPEG, SMB 등이 있고 두 장치가 일관되게 전송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로 변환 시켜줌.

 

 

-응용 계층은 실제 사용자와 가장 밀접해 있는 계층으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함.

프로토콜은 HTTP , SMTP, FTP 등이 있음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면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  (0) 2023.01.21
3  (0) 2023.01.18
2  (0) 2023.01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