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클라우드

도커 -1

도커(Docker)

 

컨테이너 기술을 지원

컨테이너의 사실상 표준

의존성 및 파일시스템까지 패키징하여 빌드, 배포, 실행을 단순화

네임스페이스, cgroups 같은 커널 기능을 사용하여 가상화

 

모놀리식 라이프 사이클

-> 개발자들이 하나의 앱에다가 개발을 다 때려박고 빌드 테스트 배포를 한번에 하는것

 

마이크로 서비스 라이프 사이클

-> 개발자들이 앱의 맡은 부분을 서비스로 나눠서 서비스마다 빌드 테스트 배포를 나눠서 하는것

 

마이크로서비스가 뭐가좋냐?

-> 서비스 단위 고효율 저비용, Scale-out 구조

 

 

 

컨테이너 : 내부에 이미지가 들어가있는 환경, 이미지들을 관리

도커 : 컨테이너를 운영하기 위한 것, 하나의 운영체제(가상환경) 같은 것

쿠버네티스 : 배포 빌딩을 효율적으로 도와주는것

 

컨테이너

- 가상머신을 사용해 각 마이크로 서비스를 격리하는 기술

- 가상머신처럼 하드웨어를 전부 구현하지 않아 매우 빠른 실행 가능

 

리눅스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설치하면 리눅스의 cpu 메모리를 사용함

리눅스 서버에 설치하거나 가상환경 위에 설치할 수 있음

 

그냥 가상머신에 비해 쥰ㅡ나 가벼움

cpu 리소스 잡아먹는게 가상머신에 비해 그냥 선녀임

심지어 네이티브랑 비교하면 1%밖에 손실이 안남. 걍 좋다는 소리임

 

컨테이너를 격리하는 기술

- 리눅스 네임 스페이스 : 각 프로세스가 파일 시스템 마운트, 네트워크, 호스트네임 등에 대해 시스템에 독립 뷰를 제공

물론 파일 공유를 허용 하거나, 바깥쪽에 리눅스 같은걸 설치해서 프로세스끼리 교류는 가능

 

리눅스 컨트롤 그룹 : 프로세스로 소비할 수 있는 리소스양(CPU, 메모리,I/O, 네트워크 대역대 등)을 제한

프로세스마다 메모리는 2GB  용량은 8GB 이렇게까지만 써라 라고 제한을 둘 수 있는것. 

가상머신 설치할때 설정하는거랑 비슷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클라우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도커 -3  (0) 2022.10.12
도커 -2  (0) 2022.10.12
EC2 -2  (0) 2022.10.10
EC2 -1  (0) 2022.10.10
IAM -2  (0) 2022.10.09